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년 청년을 위한 정부 및 지자체 지원정책이 다양하게 운영됩니다.
대표적인 자산형성, 주거, 교육, 교통 분야까지 주요 정책을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1. 청년내일저축계좌
저소득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한 계좌로, 3년간 저축 시 최대 1,440만 원 수령 가능.
- 지원 대상: 만 19~34세 / 중위소득 100% 이하
- 신청처: 복지로
2. 청년도약계좌
중소득 이상 청년 대상 장기 저축상품. 5년간 최대 5,000만 원 자산 형성 가능.
- 지원 대상: 중위소득 180% 이하 근로 청년
- 신청처: 시중은행 앱 및 창구
3. 청년월세지원 (국토교통부)
1인 가구 또는 무주택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 지원
- 신청 시기: 상반기/하반기 공고 예정
- 거주지 기준 중위소득 60~100% 이하
- 신청처: 복지로 또는 거주지 지자체
4. 청년교통비 지원 (지자체별)
경기도, 부산, 울산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월 3~5만 원 교통비 환급 지원.
- 예: 경기 청년 교통비 지원 (경기버스·지하철 정액권 환급)
- 신청처: 해당 지자체 홈페이지
5. 청년기본소득 (경기도 등)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씩 연간 총 100만 원 지급.
- 경기도 청년 대상 (거주기간 3년 이상)
- 신청처: 경기도일자리재단
마무리
정부와 지자체의 청년 지원 정책은 계속 확대 중입니다. 위에서 소개한 제도들은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해당 지역 청년이라면 놓치지 말고 챙기세요!
반응형
'재테크 • 정부지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내일저축계좌 해지 시 불이익 총정리 – 중도 해지 주의사항 (0) | 2025.05.11 |
---|---|
2025 청년내일저축 지자체별 모집 일정 총정리 (0) | 2025.05.10 |
청년 전세금 반환보증제도 완전정복 (0) | 2025.05.10 |
2025 청년월세지원금 추가 신청, 지금 가능한가요? (0) | 2025.04.27 |
2025 인천 청년수당 지급일 & 이월지급 총정리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