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불이익 & 과태료 정리
종합소득세는 신고하지 않으면 절대 지나가지 않습니다. 국세청은 신고 대상자 전체에게 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미신고 시 가산세, 추징금, 이자까지 부과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불이익 사례와 함께 피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몰랐다고 넘어가지지 않나요?”
국세청은 카드사, 플랫폼, 은행, 보험사 등으로부터 모든 소득자료를 자동 수집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고 대상인지 몰랐다”는 이유는
과태료 면제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신고가 누락되면 6월 이후 정기 세무조사 및 수정요구가 들어옵니다.
“안 냈더니 20% 더 내라고 하더라고요”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국세청이 자체 판단으로 ‘추계 결정’한 후 가산세 20% + 무신고 이자를 추가 징수합니다.
경우에 따라선 납부 불이행 시 체납자 등록, 통장 압류
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무신고 가산세: 산출세액의 최대 20%
- 납부지연 가산세: 일수 기준 이자 부과
- 세무조사 리스크 증가
- 신용등급 영향 가능성
종합소득세 미신고 시 실제 사례
- 1인 유튜버: 광고 수익 900만 원 신고 안함 → 추징세 + 과태료 약 180만 원
- 디자인 프리랜서: 거래처 신고 누락 → 국세청 데이터로 역추적됨
- 부업 알바족: 300만 원 소득 미신고 → 세금 고지서 발송됨
※ 소득 규모와 무관하게
기타소득, 사업소득 형태는 전부 추적
됩니다.
내 소득 먼저 조회하기
지금 신고하면 피할 수 있는 불이익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마감은 **5월 31일 자정까지**입니다. 마감 이전 자진 신고 시에는
가산세 면제, 환급 가능, 납부유예 신청 가능
등의 혜택이 있으니 지금 홈택스 접속 후 ‘신고 내역’부터 확인하세요.
신고 누락이 걱정된다면 **지급명세서 → 소득 자동조회 기능**을 활용하면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