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5월은 2024년 귀속 소득에 대한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입니다. 하지만 “나는 신고 대상일까?, “신고 안 해도 되는 경우는 뭐지?”라는 질문이 매년 반복되죠.
이번 글에서는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와 비대상자를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핵심 내용만 정리해드립니다.
1.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수) ~ 5월 31일(토)까지이며,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통해 온라인 신고가 가능합니다.
직접 방문 신고는 관할 세무서를 통해 진행되며, 혼잡을 피하기 위해 사전예약이 권장됩니다.
2.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 ✔ 프리랜서, 사업자(개인사업자 포함)
- ✔ 임대소득자 (월세/전세보증금 간주임대소득 포함)
- ✔ 2가지 이상 근로소득(이중근로) 있는 자
- ✔ 금융·기타소득 연간 2천만 원 초과
- ✔ 주식 양도차익이 있는 일부 투자자
※ 위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반드시 신고 대상입니다.
3. 종합소득세 신고 안 해도 되는 사람
- ✅ 1개의 근로소득만 있는 직장인 (연말정산으로 자동 정산됨)
- ✅ 소득이 없는 전업주부, 학생
- ✅ 금융소득 연 2천만 원 이하 (원천징수로 납세 완료)
- ✅ 퇴사 후 무소득자 (퇴직금 제외)
단, 이자·배당·기타소득이 별도로 있을 경우 반드시 다시 검토해야 합니다.
4.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요약
- 1️⃣ 홈택스 로그인 (공동인증서 or 간편인증)
- 2️⃣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 클릭
- 3️⃣ 기본정보 자동 불러오기 확인
- 4️⃣ 수입·지출 내역 입력 → 세액 확인
- 5️⃣ 납부서 출력 or 온라인 납부
FAQ – 종합소득세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 5월에 신고 못 하면 어떻게 되나요?
→ 가산세(무신고 가산세 20% +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Q. 종합소득세를 대행 맡기면 얼마인가요?
→ 단순 신고는 3~5만 원, 복잡한 경우 10만 원 이상입니다.
Q. 직장인도 신고 대상일 수 있나요?
→ 투잡, 프리랜서 부수입, 배당·임대소득이 있으면 신고 대상입니다.
Q. 환급도 받을 수 있나요?
→ 세액공제를 잘 활용하면 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마무리
종합소득세는 “모르면 무조건 손해”입니다. 신고 대상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고, 미리 자료를 준비하면 가산세 없이 절세도 가능합니다.
나에게 해당되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